강의

Front Ent/JavaScript

[JavaScript] #1. 자바스크립트란?

JavaScript 웹 사이트 제작 시 필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 최근에 여러 툴들이 개발됨으로 핸드폰 어플리케이션도 해당 언어로 제작됩니다. React Native 등이 크로스 플랫폼으로 안드로이드, IOS 둘 다 개발되죠. 또한 Node.js 라는 플랫폼은 서버용 플랫폼으로, 자바 도상국인 한국에서 점점 자리를 잡으며 위상을 떨치고 있습니다. Java Spring VS Node.js 두 플랫폼은 각자만의 장단점이 존재하여 어떤 플랫폼이 더 좋다! 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다만 최근 스타트업, 중소기업 등에서는 Node.js를 서버 언어로 많이 채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면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에겐 좋은 서버 언어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JavaScript? Java? 자바스크립트는 ..

프로그래밍/Python

[파이썬 코딩 강의] 파일 읽고 쓰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찾아온 파이썬 코딩 강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저번 시간의 연장선으로 파일 읽고 쓰기를 해보겠습니다. 저번 시간에 간단한 txt 파일을 열어서 해시화를 했었습니다. 이번에는 txt 파일을 읽고 쓰는 법에 관해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파일 읽기 이번에는 간단하게 점수들만 있는 txt 파일을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82 70 52 95 62 77 94 -scores.txt- 라는 파일이 있습니다. 이 파일을 차례대로 출력해보겠습니다. file = open("scores.txt") for line in file: print(line) file.close() 위 코드를 실행할 시 점수가 순서대로 출력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혹시 [파이썬 코딩 강의] 배열과 해시 (자료형 심..

프로그래밍/Python

[파이썬 코딩 강의] 배열과 해시 (자료형 심화)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저번 강의에서 잠깐 설명한 배열과 해시, 그리고 자료형에 관해 더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배열의 쓰임 배열은 저번 강의에서 같은 자료형 끼리 모아둔 자료형이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sort()메서드와 reverse()메서드를 소개해드렸습니다. 이번 시간은 append() 메서드와 insert() 메서드, remove() 메서드와 더불어 len() 메서드, max(), min() 메서드도 같이 소개하고자 합니다. 각각 그림으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보여주고 코드상으로 한번 더 이해하는 과정으로 가보죠. 이번에는 코드로 한번 봐보겠습니다. 배열의 요소 추가 및 제거 메서드를 만나봤습니다. 이번에는 배열의 길이, 배열의 최대, 최소값을 불러오는 메서드인 len(), max(), min() 메..

프로그래밍/Python

[파이썬 코딩 강의] 반복문, 배열

안녕하세요 이번엔 반복문과 배열에 관해 강의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배열에 관해서 시작하겠습니다. 배열 배열은 같은 자료형끼리 줄줄히 열을 맞추어 존재하는 것을 말합니다. 코드로 직접 확인해보겠습니다. list = [10,20,30] print(list) #(10, 20, 30)이 출력된다. 그러면 배열을 왜 쓰느냐. 그것은 여러 데이터가 존재할 때 이를 묶어서 관리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배열에 있는 값들을 어떻게 가져오는 지도 확인해보겠습니다. 문법적으로는 배열이름[인덱스] 라는 식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또한 코드로 직접 확인해보겠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그림으로 좀 더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림으로 보면 이렇게 표현이 가능합니다. 배열의..

프로그래밍/Python

[파이썬 코딩 강의] 변수, 자료형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오늘은 "변수"에 관해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변수란? 사전적인 용어로는 변하는 수, 반대말로는 상수가 있다. 코딩 상의 변수도 비슷한 개념을 갖는다. 그림과 같이 표현하자면 위와 같다. 라벨이 붙어있는 박스안에 한 값을 넣는 것. 그리고 그 값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 것 그것이 변수이다. 파이썬 상에서 변수를 만드는 것은 다음과 같다 예시 a = 30 b = 40 c = 50 a, b, c 라는 라벨이 붙은 변수에 각각 30, 40, 50 이라는 값을 넣어주었다. 이 "넣어줌"을 코딩상에서 "할당 (allocation)" 이라는 표현을 쓴다. 이 "할당"이라는 개념은 몹시 단순하지만 굉장히 중요하다! 왜냐면 보통 우리가 '='라는 기호를 '같다'라고 표현한다. 하지만 코드 상..

Dev.Poinguinie
'강의'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