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펭귄 교수입니다.
이번에는 요즘 핫한 키워드, MCP 관련 포스팅입니다.
MCP, Model Context Protocol
사실 이 단어는 요즘 개발자들 사이에서 많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너도 나도 MCP를 사용하며 개발하고 있다는 얘기를 듣지만,
"정확히 그게 뭔데, 어디다가 쓰는 데"
라는 생각이 계속 들어 이 참에 제대로 알아보고 포스팅을 계획했습니다.
MCP 이해
많은 포스팅, 그리고 설명에서 USB-C 단자에 비유를 많이 합니다.

정확히는 연결이자 규칙 이라는 프로세스에서 동일하다고 보는 게 좋습니다.
예를 들어, 카페를 운영하는 사람 (서버, 서비스)가 있고, 우리는 그 카페에 방문한 고객 (클라이언트) 라고 생각을 해봅시다.
우리가 카페에 들어가서 다짜고짜 "커피 주세요!" 라고 하면 사장님은 어찌할 줄을 모를겁니다.
대체 어떤 커피를? 몇 잔이나? 차갑게 따뜻하게? 라는 의문을 품을 수 밖에 없죠.
거기서 우리는 "아이스 아메리카노 두 잔, 따뜻한 카페라떼 한 잔, 테이크 아웃 할게요" 라고 할 때 사장님은 행복해지실 겁니다.
여기서 우리가 말한 저 말이 MCP 입니다.
사실 MCP는 하나의 프로토콜이지, AI 서비스랑은 별도로 봐야합니다.

크게 도식표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가 카페에 들어가서 사장님에게 말합니다.
{
"주문 리스트": [
{"주문": "아메리카노", "수량": 2, "온도": "차갑게"},
{"주문": "카페라떼", "수량": 1, "온도": "뜨겁게"},
],
"테이크아웃 여부": "예"
}
그러면 사장님이 카페 주방으로 들어가 원두를 갈고 물을 내려서 저희가 원하는 것을 가져다 주는 그 흐름 (Flow)가 MCP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즉, AI 서비스는 소통 도구, MCP는 소통 흐름, 서비스는 소통 재료 라고 이해하는 게 정확합니다.
다음편에는
이 이해한 MCP의 개념을 토대로 언제 MCP를 쓰는 게 유용할 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구독과 좋아요를 할 경우 더 빨리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펭귄 교수입니다.
이번에는 요즘 핫한 키워드, MCP 관련 포스팅입니다.
MCP, Model Context Protocol
사실 이 단어는 요즘 개발자들 사이에서 많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너도 나도 MCP를 사용하며 개발하고 있다는 얘기를 듣지만,
"정확히 그게 뭔데, 어디다가 쓰는 데"
라는 생각이 계속 들어 이 참에 제대로 알아보고 포스팅을 계획했습니다.
MCP 이해
많은 포스팅, 그리고 설명에서 USB-C 단자에 비유를 많이 합니다.

정확히는 연결이자 규칙 이라는 프로세스에서 동일하다고 보는 게 좋습니다.
예를 들어, 카페를 운영하는 사람 (서버, 서비스)가 있고, 우리는 그 카페에 방문한 고객 (클라이언트) 라고 생각을 해봅시다.
우리가 카페에 들어가서 다짜고짜 "커피 주세요!" 라고 하면 사장님은 어찌할 줄을 모를겁니다.
대체 어떤 커피를? 몇 잔이나? 차갑게 따뜻하게? 라는 의문을 품을 수 밖에 없죠.
거기서 우리는 "아이스 아메리카노 두 잔, 따뜻한 카페라떼 한 잔, 테이크 아웃 할게요" 라고 할 때 사장님은 행복해지실 겁니다.
여기서 우리가 말한 저 말이 MCP 입니다.
사실 MCP는 하나의 프로토콜이지, AI 서비스랑은 별도로 봐야합니다.

크게 도식표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가 카페에 들어가서 사장님에게 말합니다.
{
"주문 리스트": [
{"주문": "아메리카노", "수량": 2, "온도": "차갑게"},
{"주문": "카페라떼", "수량": 1, "온도": "뜨겁게"},
],
"테이크아웃 여부": "예"
}
그러면 사장님이 카페 주방으로 들어가 원두를 갈고 물을 내려서 저희가 원하는 것을 가져다 주는 그 흐름 (Flow)가 MCP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즉, AI 서비스는 소통 도구, MCP는 소통 흐름, 서비스는 소통 재료 라고 이해하는 게 정확합니다.
다음편에는
이 이해한 MCP의 개념을 토대로 언제 MCP를 쓰는 게 유용할 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구독과 좋아요를 할 경우 더 빨리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