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펭귄 교수입니다.
저번에 간단 멀티 서버에 이어 복잡 멀티 서버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단 멀티 서버는 아래를 보시면 만들 수 있습니다.
[팔월드] 아주 간단하게 멀티 하는 법, 멀티 설정 꿀팁
안녕하세요 펭귄교수입니다! 이번에는 아주 핫한 게임, 성인판 포켓몬 팔월드 (PalWorld)의 멀티하는 법에 대해 글을 쓰려고 합니다. 1. 게임 접속 일단 같이 멀티하려고 하는 사람들은 모두 Steam에
csexy-1365.tistory.com
그래도 해당 부분을 이해할 수 있게 최대한 쉽게 얘기하면서 잘 따라 오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Palworld Dedicated Server 다운로드
먼저 스팀 라이브러리 우측 검색을 이용하여 PalWorld Dedicated Server에 들어갑니다.
그 후 다운로드까지 마쳐줍니다.
다운로드하는 동안 데디케이티드 서버 (Dedicated Server)에 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이전에 만들었던 서버는 서버장이 게임에 접속해 있어야 (그 서버에 들어가 있어야) 다른 플레이어들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Dedicated Server , 헌신하는 서버는 간단하게 그 서버만! 연다는 것에 차이가 있습니다.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게임에는 서버, 클라이언트가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간단하게 말하자면 고객,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서 화면에 출력하는 그런 프로그램입니다.
서버는 단순하게 보자면 데이터를 받고 보내고만 하는 컴퓨터를 말합니다.
여기서 얘기하는 간단 서버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한마디로 클라이언트를 켜줘야 서버를 킬 수 있게 되는 겁니다.
하지만 Dedicated Server는 이 서버를 따로 분리시켜 클라이언트를 키지 않고도 다른 클라이언트들이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구조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마크의 하마치 등이 이런 방식인거죠.
다운로드가 다 되었다면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2. 서버 설정
일단 아까 설치한 Palworld Dedicated Server를 한번 실행하고 꺼줍니다.
실행하면 CMD 창이 하나가 켜질겁니다. 그것이 앞으로 서버 역할을 할 것입니다.
그러면 앞으로 실행할 서버가 간단하게 초기화가 된 것입니다.
그 후 아래의 경로로 가 "DefaultPalWorldSettings.ini" 라는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줍니다.
C:\Program Files (x86)\Steam\steamapps\common\PalServer
열면 이것저것이 쓰여있습니다.
이것은 Default Server Setting, 즉 서버 세팅 기본값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당 부분을 모두 선택 (Ctrl + A) 후 복사 (Ctrl + C) 합니다.
그러고 아까 한 번 실행을 했었으면 Pal 폴더 내에 Saved 라는 폴더가 생성되었을 겁니다.
생성됨을 확인했으면 아래 경로에 복사 한 것을 붙혀넣습니다.
C:\Program Files (x86)\Steam\steamapps\common\PalServer\Pal\Saved\Config\WindowsServer\\PalWorldSettings.ini
Pal\\Saved\\Config\\WindowServer 폴더 내에 PalWorldSetting.ini 파일에 붙혀넣으면 됩니다.
서버 설정은 아래 표를 보시고 원하시는 대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참 : True, 거짓 : False 값으로 설정, 대부분의 기본 수치는 1.0000으로 설정)
설정 값 | 설정 설명 |
---|---|
Difficulty | 게임 전반적인 난이도 조절 |
DayTimeSpeedRate | 게임 내 주간 속도 조절 |
NightTimeSpeedRate | 게임 내 야간 속도 조절 |
ExpRate | 플레이어와 생물체의 경험치 획득률 변경 |
PalCaptureRate | Pal 포획 비율 조절 |
PalSpawnNumRate | Pal 생성 비율 조절 |
PalDamageRateAttack | Pal 공격 데미지 조절 |
PalDamageRateDefense | Pal 받는 데미지 조절 |
PlayerDamageRateAttack | 플레이어 공격 데미지 조절 |
PlayerDamageRateDefense | 플레이어 받는 데미지 조절 |
PlayerStomachDecreaseRate | 플레이어 포만도 감소 속도 조절 |
PlayerStaminaDecreaseRate | 플레이어 스태미너 감소 속도 조절 |
PlayerAutoHPRegeneRate | 플레이어 자동 체력 회복 속도 조절 |
PlayerAutoHpRegeneRateInSleep | 플레이어 수면 중 체력 회복 속도 조절 |
PalStomachDecreaseRate | Pal 포만도 감소 비율 조절 |
PalStaminaDecreaseRate | Pal 스태미너 감소 비율 조절 |
PalAutoHPRegeneRate | Pal 자동 체력 회복 속도 조절 |
PalAutoHpRegeneRateInSleep | Pal 수면 중 체력 회복 속도 조절 |
BuildObjectDamageRate | 건설된 오브젝트 데미지 비율 조절 |
BuildObjectDeteriorationDamageRate | 건설된 오브젝트 악화(노후) 비율 조절 |
CollectionDropRate | 수집 아이템 드롭 비율 조절 |
CollectionObjectHpRate | 수집 오브젝트 체력 조절 |
CollectionObjectRespawnSpeedRate | 수집 오브젝트 재생성 속도 조절 |
EnemyDropItemRate | 적 처치시 아이템 드롭 비율 조절 |
DeathPenalty | 플레이어 사망 시 패널티 설정 All-전부 드롭 Item-아이템 드롭,팰 장비 유지 ItemAndEquipment-아이템과 장비 드롭, 팰유지 None-전체 유지 |
bEnablePlayerToPlayerDamage | 플레이어간 데미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bEnableFriendlyFire | 아군 사격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bEnableInvaderEnemy | 습격 이벤트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bActiveUNKO | UNKO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bEnableAimAssistPad | 컨트롤러용 조준 보조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bEnableAimAssistKeyboard | 키보드용 조준 보조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DropItemMaxNum | 게임 내 드롭 아이템 최대 수 설정 |
DropItemMaxNum_UNKO | 게임 내 UNKO 아이템 최대 수 설정 |
BaseCampMaxNum | 건설 가능한 베이스 캠프 최대 수 설정 |
BaseCampWorkerMaxNum | 베이스 캠프에서 사용 가능한 작업자 최대 수 설정 |
DropItemAliveMaxHours | 아이템 드롭 후 최대 지속 시간 설정 |
bAutoResetGuildNoOnlinePlayers | 온라인 플레이어가 없는 길드 자동 재설정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AutoResetGuildTimeNoOnlinePlayers | 온라인 플레이어가 없는 길드 자동 재설정 시간 설정 |
GuildPlayerMaxNum | 길드 내 최대 플레이어 수 설정 |
PalEggDefaultHatchingTime | Pal 알의 기본 부화 시간 설정 |
WorkSpeedRate | 게임 내 전반적인 작업 속도 조절 |
bIsMultiplay | 멀티플레이 모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bIsPvP | 플레이어 대 플레이어 (PvP) 모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bCanPickupOtherGuildDeathPenaltyDrop | 다른 길드의 사망 패널티 아이템 획득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bEnableNonLoginPenalty | 비로그인 패널티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bEnableFastTravel | 빠른 이동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bIsStartLocationSelectByMap | 지도에서 시작 위치 선택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bExistPlayerAfterLogout | 로그아웃 후 플레이어 존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bEnableDefenseOtherGuildPlayer | 다른 길드 플레이어의 방어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CoopPlayerMaxNum | 세션 내 최대 협동 플레이어 수 설정 |
ServerPlayerMaxNum | 서버에 허용된 최대 플레이어 수 설정 |
ServerName | Palworld 서버 이름 설정 |
ServerDescription | Palworld 서버 설명 제공 |
AdminPassword | 서버 관리를 위한 비밀번호 설정 |
ServerPassword | Palworld 서버 가입을 위한 비밀번호 설정 |
PublicPort | Palworld 서버의 공개 포트 설정 |
PublicIP | Palworld 서버의 공개 IP 주소 설정 |
RCONEnabled | 원격 콘솔 (RCON) 서버 관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RCONPort | 원격 콘솔 (RCON) 통신 포트 설정 |
Region | Palworld 서버 지역 설정 |
bUseAuth | 서버 인증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BanListURL | 서버 밴 리스트의 URL 설정 |
저장까지 완료하시면 서버 설정을 마무리가 됐습니다.
3. 접속 설정
서버 설정까지 완료했으면 이제는 다른 플레이어가 들어올 수 있게 설정을 해야합니다.
기본적으로는 포트포워딩, 방화벽 설정이 있는데, 이를 한번에 해결할 커맨드를 소개드리겠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owerShell을 관리자모드로 접속합니다.
왼쪽 하단 윈도우 아이콘 우클릭 > Windows PowerShell (관리자)
그 후 아래 커맨드를 입력합니다.
netsh advfirewall firewall add rule name="Palworld UDP Port 27015" dir=in action=allow protocol=UDP localport=27015
netsh advfirewall firewall add rule name="Palworld UDP Port 8211" dir=in action=allow protocol=UDP localport=8211
그러면 확인됨이라 표시되면 성공한 것입니다.
이 코드를 이해하시기 원하시면 아래 더보기를 눌러주세요.
netsh 커맨드는 방화벽 설정과 포트포워딩을 한번에 해주는 커맨드입니다.
기본적으로 PalWorld의 Dedicated Serve는 UDP 형식으로 통신하며, 포트는 서버는 8211, 스팀 통신은 27015 포트로 진행합니다.
4. 게임 실행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기 전에 Dedicated Server를 먼저 실행해줍니다.
그 후 게임을 실행하고 전용 서버로 게임 참가로 들어갑니다.
그러고 서버를 연 사람은 아래 IP 주소로 접속합니다.
127.0.0.1:8211
127.0.0.1은 로컬 호스트를 의미해 본인 IP를 의미합니다.
다만 같이 할 플레이어는 위가 아닌 외부 접속 IP로 접속을 해야하기 때문에 다른 IP를 입력해야합니다.
그 IP는 네이버에 내 아이피 주소 확인을 검색하여 알 수 있습니다.
그 아이피 뒤에 :8211를 붙혀넣으면 접속이 가능합니다.
만약 접속이 안된다면 아래 방화벽 설정을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방화벽 해제하기, 멀티 서버 필수 세팅!
안녕하세요 펭귄 교수입니다. 이번에는 방화벽을 해제하는 법에 대해 글을 써보려 합니다. 해제하는 이유 방화벽(Fire Wall)을 해제하는 이유는 멀티 서버를 할 때 사람들의 접속 (외부 접속)을 기
csexy-1365.tistory.com
마치며
이렇게 복잡 서버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해해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지만, 뭔가 복잡스러워서 어려워보입니다.
그래도 잘 따라하신 여러분들이 대단합니다.
감사합니다.
'펠월드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팰월드] 뼈 얻는 법 (1) | 2024.01.31 |
---|---|
[팰월드] 어드민 명령어, 싱글 멀티 포함 총정리! (5) | 2024.01.30 |
[팔월드] 케이크 얻는 법 총 정리! 이것만 보면 끝! (0) | 2024.01.29 |
[팔월드] 우유 얻는 법 총 정리! (0) | 2024.01.26 |
[팔월드] 다음 업데이트 정보, 버그 수정? (0) | 2024.01.25 |